pebblepark
개발계발
pebblepark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24)
    • Frontend (7)
    • Backend (7)
    • 인프라 (1)
    • CS (0)
      • Design Pattern (0)
    • 정리용 (9)
    • 회고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javascript
  • ERR_UNSAFE_PORT
  • vite
  • springboot
  • hoisting
  • 스프링 빈
  • 스프링 컨테이너
  • wsl
  • github
  • spring
  • 스프링 의존관계
  • useLayoutEffect
  • React Query
  • Git
  • CORS
  • debounce
  • react-query
  • redux
  • 리액트쿼리
  • @ModelAttribute
  • SpringMVC
  • Github Pages
  • 무한스크롤
  • typescript
  • react
  • 스프링
  • TDZ
  • 호이스팅
  • Context API
  • Docker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pebblepark
Backend

[Spring]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

[Spring]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
Backend

[Spring]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

2022. 1. 25. 00:28

스프링 컨테이너

  •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함
  •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
    -> 스프링 컨테이너는 XML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어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만들 수 있음
  • AppConfig가 어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든 것
  • 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설정 정보로 사용함
  • 이때 @Bean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함
  • 스프링 빈은 @Bean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
  • 위의 예제에서 MemberService 빈을 찾을 때 메서드 명 memberService를 통해서 찾음
  • 메서드 명으로 빈 이름을 사용하지만 @Bean(name="xxx") 어노테이션의 name 속성으로 이름 부여도 가능함

AppConfig

package hello.core;
import hello.core.discount.DiscountPolicy;
import hello.core.discount.RateDiscountPolicy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Repository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Service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ServiceImpl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oryMemberRepository;
import hello.core.order.OrderService;
import hello.core.order.OrderServiceImpl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Bea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Configuration;
@Configuration
public class AppConfig {
@Bean
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 {
return new Memb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());
}
@Bean
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() {
return new OrderServiceImpl(
memberRepository(),
discountPolicy()
);
}
@Bean
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() {
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();
}
@Bean
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() {
return new RateDiscountPolicy();
}
}

 

MemberApp

package hello.core;
import hello.core.member.Grade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;
import hello.core.member.MemberServ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pplicationContext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;
public class MemberApp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순수 자바 코드로 DI 적용
// AppConfig appConfig = new AppConfig();
// 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appConfig.memberService();
//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DI 적용
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applicationContext.getBean("memberService", MemberService.class);
Member member = new Member(1L, "memberA", Grade.VIP);
memberService.join(member);
Member findMember = memberService.findMember(1L);
System.out.println("newMember = " + member.getName());
System.out.println("findMember = " + findMember.getName());
}
}
빈 이름은 항상 다른 이름을 부여해야함
같은 이름 부여시, 다른 빈이 무시되거나 기존 빈을 덮어쓰거나 설정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

 

 

AppConfig

@Bean
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 { // 해당 메서드 명을 빈의 이름으로 사용
return new MemberServiceImpl(memberRepository());
}

 

MemberApp

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MemberService memberService = applicationContext.getBean("memberService", MemberService.class); // 빈의 이름을 통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 객체를 찾아옴

 

  •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    ->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의 구현체 :: 자바 설정 클래스 기반의 스프링 컨테이너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필요한 스프링 빈(객체)을 찾을 수 있음
    -> 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으로 설정한 클래스에서 @Bean 어노테이션을 적용한 메서드의 반환 객체는 자동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됨
  • 스프링 빈 조회는 applicationContext.getBean() 메서드를 사용, 스프링 빈의 이름과 타입으로 조회함



스프링 컨테이너의 싱글톤 보장
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 빈으로 등록시 싱글톤 객체로 보장해줌 -> 아래 테스트 코드 실행하면 성공
  • 만약 @Configuration 없이 @Bean만을 사용했다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지만 싱글톤을 보장하지 않음
@Test
void configurationTest() {
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= ac.getBean("memberService", MemberServiceImpl.class);
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= ac.getBean("orderService", OrderServiceImpl.class);
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= ac.getBean("memberRepository", MemberRepository.class);
System.out.println("memberService -> memberRepository = " + memberService.getMemberRepository());
System.out.println("orderService -> memberRepository = " + orderService.getMemberRepository());
System.out.println("memberRepository = " + memberRepository);
assertThat(memberService.getMemberRepository()).isEqualTo(memberRepository);
assertThat(orderService.getMemberRepository()).isEqualTo(memberRepository);
}



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Back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pring]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  (0) 2022.01.29
[Spring] HTTP 요청 파라미터 사용 - @RequestParam과 @ModelAttribue  (0) 2022.01.18
[Spring] MVC 패턴  (0) 2022.01.16
[Spring] MVC 패턴의 등장  (0) 2022.01.15
[Spring]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다루기  (0) 2022.01.11
  • 스프링 컨테이너
  • 스프링 컨테이너의 싱글톤 보장
'Back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Spring]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
  • [Spring] HTTP 요청 파라미터 사용 - @RequestParam과 @ModelAttribue
  • [Spring] MVC 패턴
  • [Spring] MVC 패턴의 등장
pebblepark
pebblepark
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.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:)

티스토리툴바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